그래픽 노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래픽 노블은 만화 형식으로 출판되는 허구의 이야기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만화책 모음, 앤솔로지, 논픽션 작품에도 사용되며, 독립적인 이야기로 만들어진 작품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그래픽 노블"이라는 용어는 1964년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1978년 윌 아이즈너의 작품 '신과의 계약' 표지에 등장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이후 앨런 무어의 '왓치맨', 아트 스피겔만의 '쥐' 등의 작품들이 그래픽 노블의 개념을 주류 대중에게 알리는 데 기여했다. 2004년에는 에디 캔벨이 예술 운동으로서의 그래픽 노블 제작을 선언하기도 했다.
Merriam-Webster 사전은 그래픽 노블을 "만화 형식으로 제시되어 책으로 출판되는 허구의 이야기"라고 정의한다.[6] 그러나 이 용어는 엄격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으며, 때로는 주관적인 차이를 암시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래픽 노블의 정확한 정의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그 기원은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2. 정의
일반적으로 "그래픽 노블"은 전통적인 미국 코믹스보다 진지하고 성인 취향이거나, 문학적인 작품군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파인 아트 형식의 코믹 작품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랑스 성인 만화 "반데시네"(Bande Dessinée)와 비슷한 이유이다.
출판 업계에서는 코믹스 이외의 미디어로 판매되었다면 "노블(장편 소설)"로 간주되지 않을 출판물, 즉 연속적인 스토리를 형성하지 않는 미국 코믹스의 컬렉션, 앤솔러지나 컬렉션, 논픽션 작품 등도 "그래픽 노블"로 취급하기도 한다.[7][8][9]
일본 만화 (망가)가 그래픽 노블에 포함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영어권에서는 일본 만화 단행본의 영문 번역본을 그래픽 노블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유럽에서는 19세기 말부터 만화 앨범이라 불리는 하드커버 출판물이 있었으며, Hugo Pratt의 ''소금 바다의 발라드''(1967) 등이 그 예이다.[10]
2. 1. 용어 논쟁
Merriam-Webster 사전은 그래픽 노블을 "만화 형식으로 제시되어 책으로 출판되는 허구의 이야기"로 정의하고 있다.[6] 도서관과 서점에서는 연속적인 이야기를 형성하지 않는 만화책 모음, 앤솔로지, 느슨하게 관련된 작품 모음, 심지어 논픽션까지도 그래픽 노블로 취급한다.[7][8][9] 이 용어는 책 형태로 출판된 만화 시리즈의 스토리 아크 모음이나 편집본과는 대조적으로, 독립적인 이야기로 만들어진 작품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유럽 대륙에서는 만화 앨범이라 불리는 하드커버 출판물이 19세기 말부터 있었다. Hugo Pratt의 ''소금 바다의 발라드''(1967) 등이 그 예다.[10]
하지만 '그래픽 노블'이라는 용어에 대한 반대 의견도 있다. 일부 만화계 인사들은 이 용어가 불필요하거나 상업적 이익에 의해 변질되었다고 비판한다. 앨런 무어는 '그래픽 노블'이 마케팅 용어일 뿐이며, '코믹스'라는 용어가 충분하다고 주장했다.[52] 그는 '그래픽 노블'이 '비싼 코믹스'를 의미하게 되어, 질 낮은 작품도 '그래픽 노블'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다고 비판했다.
작가이자 문화 평론가인 글렌 웰던은 '그래픽 노블'이나 '시퀀셜 아트' 같은 용어가 다른 매체의 언어를 차용하고 있으며, 속이고 정당화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고 지적했다.[53] 작가 다니엘 레이번은 '그래픽 노블'이라는 용어가 쓰레기 수거원을 '위생 기술자'라고 부르는 것과 같다고 비꼬았다.[54] 닐 게이먼은 그래픽 노블 작가라는 칭찬에 대해, 자신이 매춘부가 아니라 밤의 여자라는 이야기를 들은 것 같다고 말했다.[55]
''본''의 제작자 제프 스미스는 그래픽 노블과 코믹스의 차이가 "제본"이라는 더글러스 월크의 의견에 동의하며, '그래픽 노블'이라는 이름이 너무 애쓰는 것 같다고 말했다.[56] 그는 그래픽 노블이 시작, 중간, 끝이 있다는 점에서 소설과 같다고 덧붙였다. 자일스 코렌은 '그래픽 노블'이라는 용어가 소설이 코믹스보다 '더 높다'고 가정하며, 소설의 일종으로 여겨져야만 예술 형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57]
일부 대안 만화가들은 장편 만화 서사에 대한 자신만의 용어를 만들기도 했다. 다니엘 클로스는 ''아이스 헤이븐''(2001)을 "코믹 스트립 소설"이라고 칭하며, 코믹스에 잘못된 점을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58] 크레이그 톰슨은 ''담요''를 "삽화 소설"이라고 칭했다.[59]
"그래픽 노블"이라는 용어는 엄밀하게 정의하기 어렵다. 이 용어는 종종 그래픽 노블과 그 외의 미국 코믹스의 예술적 성격에 대한 주관적인 차이를 암시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를 위한 유머러스한 작품군에서 전통적인 미국 코믹스보다 진지하고 성인용이며, 혹은 문학적인 작품군을 암묵적으로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파인 아트 형식의 코믹 작품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랑스 성인 만화 "반데시네"(Bande Dessinée)와 비슷한 이유로 사용된다.
출판 업계에서는 코믹스 이외의 미디어로 판매되었다면 "노블(장편 소설)"로 간주되지 않을 출판물에 대해서도 이 용어가 확장되기도 한다. 연속적인 스토리를 형성하지 않는 미국 코믹스의 컬렉션, 앤솔러지나 컬렉션, 논픽션 작품 등이 도서관이나 일반 서점에 "그래픽 노블"로 진열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일본 만화가 그래픽 노블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논쟁은 결론이 나지 않았다. 다만, 미국을 중심으로 한 영어권에서는 일본 만화 단행본의 영문 번역본을 그래픽 노블이라고 부른다. 유럽에서는 19세기 말부터 "앨범" (album)이라고 불리는 하드커버로 장정된 컷 만화의 컬렉션이 출판되고 있다.
3. 역사
오바디아 올드버크의 모험은 이 목적으로 사용된 만화의 가장 오래된 미국 사례로 인정받고 있다.[11] 이 작품은 로돌프 퇴퍼가 1828년에 출판한 ''미스터 비유 보이스의 이야기''를 원작으로 하며, 1841년 런던에서 처음 영어 번역본으로 출판되었다. 최초의 미국판은 1842년 뉴욕에서 출판되었다. 또 다른 초기 선구자로는 ''예레미아 새들백스의 골드 광산 여행''이 있으며, ''오바디아 올드버크의 모험''에서 영감을 받았다.[12] 1894년, 카랑 다슈는 "그려진 소설"이라는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360페이지 분량의 무언(wordless) 책 작업을 시작했지만 출판되지는 않았다.[13] 미국에서는 이전에 출판된 만화 연재물을 책 형태로 재발행하는 오랜 전통이 있었고, 1897년에는 옐로우 키드를 모아 출판하여 베스트셀러가 되었다.[14]
장편 소설과 같은 출판 형태와 성인 독자를 대상으로 한 제작물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만화는 그래픽 노블보다 더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래픽 노블"이라는 용어는 1964년에 처음 등장했지만, 윌 아이즈너의 트레이드 페이퍼백판 『신과의 계약』(1978년) 표지에 나타나면서 일반화되었다.[62] 이 단편집은 현실 속 사람들의 삶을 소재로 한 복잡한 성인 대상 작품이었으며, "그래픽 노블"이라는 용어는 전통적인 미국 만화와 차별화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아이즈너는 1930년대에 목판화만으로 이루어진 글자 없는 소설(워드리스 노블)을 출판한 린드 워드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언급했다. 『신과의 계약』의 성공으로 "그래픽 노블"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었지만, 실제로는 1964년과 1966년에 리차드 카일이 먼저 사용했다.
1976년에는 리차드 코번의 『Bloodstar』, 조지 메츠거의 『Beyond Time and Again』, 짐 스텔란코의 『Chandler: Red Tide』 세 작품에 "그래픽 노블"이라는 용어가 나타났다. 길 케인과 아치 굿윈의 ''Blackmark''(1971년)는 30주년 기념판에서 "미국 최초의 그래픽 노블"이라고 칭해졌다.
아트 스피겔만의 퓰리처상 수상작 ''쥐''(1986년)는 "그래픽 노블"이라는 용어와 개념을 주류 대중에게 알리는 데 기여했다.[44] 프랭크 밀러의 ''배트맨: 다크 나이트 리턴즈''(1986년)와 앨런 무어와 데이브 기번스의 ''왓치맨''(1986-1987)도 그래픽 노블 판매량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47]
북미 이외 지역에서는 아이스너의 《신과의 계약》과 스피겔만의 《쥐》가 "그래픽 노블"이라는 표현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48]
3. 1. 초기 그래픽 노블 (1920년대 ~ 1960년대)
오바디아 올드버크의 모험(The Adventures of Obadiah Oldbuck)은 이 목적으로 사용된 만화의 가장 오래된 미국 사례로 인정받고 있다.[11] 이 작품은 스위스 만화가 로돌프 퇴퍼(Rodolphe Töpffer)가 1828년에 출판한 ''미스터 비유 보이스의 이야기(Histoire de Mr. Vieux Bois)''를 원작으로 하며, 1841년 런던에서 처음 영어 번역본으로 출판되었다. 최초의 미국판은 1842년 뉴욕에서 출판되었다. 또 다른 초기 선구자로는 형제 J. A. D.와 D. F. 리드가 쓴 ''예레미아 새들백스의 골드 광산 여행(Journey to the Gold Diggins by Jeremiah Saddlebags)''이 있으며, 이 작품은 ''오바디아 올드버크의 모험(The Adventures of Obadiah Oldbuck)''에서 영감을 받았다.[12] 1894년, 카랑 다슈(Caran d'Ache)는 "그려진 소설"이라는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360페이지 분량의 무언(wordless) 책 작업을 시작했지만 출판되지는 않았다.[13] 미국에서는 이전에 출판된 만화 연재물을 책 형태로 재발행하는 오랜 전통이 있었고, 1897년에는 옐로우 키드(The Yellow Kid)''를 모아 출판하여 베스트셀러가 되었다.[14]
1920년대는 벨기에의 프란스 마세렐(Frans Masereel)이 중세 목판화 전통을 부활시킨 시기였다.[15] 그의 작품에는 ''열정의 여정''(1919)이 있다.[16] 미국의 린드 워드(Lynd Ward) 또한 이 전통을 따라 1929년에 ''신의 남자''(Gods' Man)를 출판했고, 1930년대에도 더 많은 작품을 출판했다.[17][18]
이 시기의 다른 전형적인 예로는 미국의 밀트 그로스(Milt Gross)의 무성 만화 ''그는 그녀에게 잘못을 저질렀다''(1930), 초현실주의 화가 막스 에른스트(Max Ernst)의 콜라주로 구성된 연작 이미지 소설 ''선행의 일주일''(1934) 등이 있다. 샬롯 살로몬(Charlotte Salomon)의 ''생? 아니면 연극?'' (1941~43년 작)은 이미지, 이야기, 캡션을 결합한 작품이다.
1940년대에는 주로 주목할 만한 퍼블릭 도메인 소설을 어린 독자를 위한 독립적인 만화책으로 각색한 코믹스 시리즈인 ''클래식 일러스트레이티드''가 출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내 일본인 강제 수용(Internment of Japanese Americans)을 삽화와 소설 형식으로 재구성한 ''시민 13660''이 1946년에 출판되었다. 1947년 포셋 코믹스(Fawcett Comics)는 단일 이야기를 다룬 52페이지 분량의 만화책인 ''코믹스 소설'' #1: "아나코, 죽음의 독재자"(Anarcho, Dictator of Death)를 출판했다.[19] 1950년, 세인트 존 출판사(St. John Publications)는 성인 지향적 "그림 소설" ''사랑과 운율(It Rhymes with Lust)''을 제작했다. 표지에 "독창적인 장편 소설"로 홍보된 이 작품은 필명 작가 "드레이크 월러"(아놀드 드레이크(Arnold Drake)와 레슬리 월러(Leslie Waller)), 연필 삽화가 맷 베이커(Matt Baker), 잉크 담당 레이 오스린(Ray Osrin)이 참여한 128페이지 분량의 소화판으로 성공을 거두었고, 이로 인해 관련 없는 두 번째 그림 소설이 제작되었다.[20][21] 같은 해, 골드 메달 북스(Gold Medal Books)는 조셉 밀라드의 ''악의 저택''을 출판했다.[22] 만화가 하비 커츠먼(Harvey Kurtzman)은 1959년에 네 개의 이야기로 구성된 대중 시장 페이퍼백 ''하비 커츠먼의 정글 북''을 쓰고 그렸다.[23]
1960년대 후반, 미국의 만화 작가들은 형식에 대해 더욱 모험적인 시도를 시작했다. 길 케인(Gil Kane)과 아치 굿윈(Archie Goodwin)은 1968년에 40페이지 분량의 잡지 형식의 만화 소설 ''그의 이름은... 새비지''(His Name Is... Savage)를 자비로 출판했고, 같은 해에 마블 코믹스(Marvel Comics)는 유사한 형식의 ''스펙타큘러 스파이더맨''(The Spectacular Spider-Man) 두 권을 출판했다. 칼럼니스트이자 만화 작가인 스티븐 그랜트(Steven Grant)는 스탠 리(Stan Lee)와 스티브 딧코(Steve Ditko)의 ''닥터 스트레인지'' 이야기가 1965년부터 1966년까지 연재되었지만, "최초의 미국 그래픽 노블"이라고 주장한다.[24] 평론가 제이슨 색스는 마블의 ''정글 액션''(Jungle Action) 시리즈에서 1973년부터 1975년까지 연재된 13개의 "팬서의 분노"(Panther's Rage)를 "마블의 첫 번째 그래픽 노블"이라고 언급했다.[25]
유럽 대륙에서는 ''땡땡의 모험''이나 ''아스테릭스''와 같은 인기 스트립의 연재를 수집하는 전통이 있었고, 이는 처음에는 연재물로 출판된 장편 서사로 이어졌다.
1968년 1월, 엑토르 헤르만 오에스테르헬드(Héctor Germán Oesterheld)가 쓰고 알베르토 브레시아(Alberto Breccia)가 그린 그래픽 노블 ''체 게바라의 생애''(Vida del Che)가 아르헨티나에서 출판되었다. 이 책은 체 게바라의 이야기를 만화 형식으로 다루었지만, 군사 독재 정권이 책을 압수하여 파괴했다.
1969년, 작가 존 업다이크(John Updike)는 "소설의 죽음"에 대해 강연하며 "뛰어난 재능을 가진 예술가가 나타나 만화 소설 걸작을 창조하지 못할 이유는 본질적으로 없다"고 선언했다.[26]
3. 2. 현대 그래픽 노블의 등장 (1970년대 ~ 현재)
길 케인과 아치 굿윈의 ''Blackmark''(1971)는 반탐 북스(Bantam Books)에서 출판된 과학 소설/검과 마법 페이퍼백이다. 원래는 "그래픽 노블"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30주년 기념판에서 미국 최초의 그래픽 노블이라고 칭해졌다.[27] ''Blackmark''는 전통적인 책 형식으로 출판된 119페이지 분량의 만화책 예술 작품이었다.
레이몬드 브리그스(Raymond Briggs)는 ''Father Christmas''(1972)와 ''The Snowman''(1978) 등을 제작했다. 이 작품들은 그래픽 노블로 재마케팅되었지만, 브리그스는 이 용어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27]
1976년, "그래픽 노블"이라는 용어는 세 개의 작품을 설명하기 위해 인쇄물에 등장했다.
테리 난티어는 NBM 퍼블리싱(난티어, 빌, 미누스틴)을 설립하여 ''Racket Rumba''와 ''The Call of the Stars''를 출판하고 "그래픽 앨범"으로 판매했다.[30]
잭 카츠의 ''더 퍼스트 킹덤'' (1974년)의 처음 6개 호는 트레이드 페이퍼백으로 수집되어 스스로를 "최초의 그래픽 노블"이라고 칭했다.[31]
돈 맥그리거와 폴 굴라시의 ''세이버: 슬로우 페이드 오브 언 엔데인저드 스피시스''(이클립스 북스, 1978년 8월)는 작가는 인터뷰에서 "그래픽 앨범"이라고 불렀지만, 출판사는 "코믹 소설"이라고 칭했다.[32] 진 데이도 ''퓨처 데이''에 "그래픽 앨범"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DC 코믹스의 ''사악한 사랑의 집'' #2 (1972년 1월)는 표지에 "고딕 공포의 그래픽 노블"이라는 문구를 사용했다.[37]
"그래픽 노블"이라는 용어는 윌 아이즈너의 ''신과의 계약'' (1978년 10월)의 표지에 등장한 후 몇 달 만에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38] 단편 소설 모음집인 이 작품은 아이즈너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평범한 사람들의 삶에 초점을 맞춘 복잡한 작품이었다.[38] 아이즈너는 1930년대 린드 워드의 목판화를 영감으로 언급했다.[41]
''신과의 계약''의 성공은 "그래픽 노블"이라는 용어를 널리 사용하도록 확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많은 출처에서 아이즈너가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잘못 기록했다.[42]
아이즈너 이후 이 용어가 처음 적용된 것은 1979년, ''마블 프리뷰'' #17 (1979년 겨울)의 표지에 ''블랙마크''의 속편이 "그래픽 노블"로 표시되었다.
마블은 1982년부터 1988년까지 ''마블 그래픽 노블'' 시리즈를 출판했다.[43]
아트 스피겔만의 퓰리처상 수상작 ''쥐'' (1986)는 "그래픽 노블"이라는 용어와 개념을 주류 대중의 인식 속에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44] 프랭크 밀러의 ''배트맨: 다크 나이트 리턴즈'' (1986)와 앨런 무어와 데이브 기번스의 ''왓치맨'' (1986-1987)도 그래픽 노블의 판매량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47]
3. 3. 한국 그래픽 노블의 현황
북미 이외 지역에서는 아이스너의 《신과의 계약》과 스피겔만의 《쥐》가 "그래픽 노블"이라는 표현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48] 그 전까지 대부분의 유럽 국가에서는 내용이나 출판 형태가 아닌 매체의 형식을 나타내는 중립적이고 묘사적인 용어를 사용했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권 유럽에서는 "그림 띠"를 문자 그대로 번역한 표현인 ''bandes dessinées''를 사용하고, 네덜란드/플랑드르어권에서는 ''stripverhaal''("스트립 이야기"), 스칸디나비아에서는 ''tegneserie''("그림 시리즈")라는 용어를 사용했다.[49] 유럽 코믹스 연구 학자들은 미국인들이 원래 그들의 표준인 32페이지 코믹스 형식을 벗어나는 모든 것을 "그래픽 노블"이라고 불렀으며, 이는 내용에 관계없이 모든 대형, 장편 프랑코-벨기에 코믹 앨범이 이 범주에 속했음을 의미한다고 관찰했다.
작가 겸 만화가 브라이언 탤벗은 1982년 프라우트에서 출판한 자신의 작품 《루터 아크라이트의 모험》의 첫 번째 컬렉션이 최초의 영국 그래픽 노블이라고 주장한다.[50]
미국의 만화 평론가들은 때때로 유럽 그래픽 노블을 "유로 코믹스"라고 지칭했으며,[51] 1980년대 후반에는 이러한 작품들을 미국 시장에 교차 수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미국의 출판사 카탈란 커뮤니케이션과 NBM 퍼블리싱은 주로 캐스터만과 레 휴머노이드 아소시에의 백로그 카탈로그에서 번역된 작품들을 출시했다.
4. 예술 운동으로서의 그래픽 노블
만화가 에디 캔벨은 보다 예술적인 그래픽 노블 제작을 의도한 2004년 선언을 발표했고, 이 용어는 이 예술 운동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게 되었다. 이 운동의 구성원은 '그래픽 노블 작가'로 알려져 있다.[38]
캔벨은 그래픽 노블 운동의 주된 목적을 "족쇄인 코믹스라는 형식을 취하면서, 코믹스 형식을 보다 의욕적이고 의미 있는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38] 그는 이 운동을 많은 선행 작품(특히 린드 워드의 작품으로 대표되는 목판화)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고 있지만, 이 운동을 그러한 선행 작품에까지 적용하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38] 또한, '그래픽 노블'이라는 용어를 각 작품의 시장에서의 목적에 상관없이 임의의 작품에 객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개념을 부정하고 있다.[38]
참조
[1]
서적
Maximizing the Impact of Comics in Your Library: Graphic Novels, Manga, and More
https://www.worldcat[...]
[2]
웹사이트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Graphic Novels and Trade Paperbacks?
https://www.howtolov[...]
2020-11-16
[3]
서적
Founders of Comic Fandom: Profiles of 90 Publishers, Dealers, Collectors, Writers, Artists and Other Luminaries of the 1950s and 1960s
https://books.google[...]
McFarland
[4]
서적
A Primer of the Novel: For Readers and Writer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5]
웹사이트
BISAC Subject Headings List, Comics and Graphic Novels
https://www.bisg.org[...]
Book Industry Study Group
[6]
사전
graphic novel
http://www.merriam-w[...]
[7]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Creating a Graphic Novel
Alpha Books
[8]
서적
Masters of the Comic Book Universe Revealed!
https://archive.org/[...]
Chicago Review Press
[9]
뉴스
graphic novel literature
https://www.britanni[...]
[10]
웹사이트
The Ghost of a Character: The Cage by Martin Vaughn-James
http://www.indyworld[...]
2004-06-01
[1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Comic Books: Introduction and 'The Platinum Age 1897–1938'
https://web.archive.[...]
TheComicBooks.com
2007-05-02
[12]
서적
Overstreet Comic Book Price Guide #38
[13]
웹사이트
"Maestro": chronique d'une découverte / "Maestro": Chronicle of a Discovery
http://neuviemeart.c[...]
NeuviemArt 2.0
2015-06-01
[14]
잡지
A Brief History of the Graphic Novel
http://www.diamondbo[...]
Diamond Comic Distributors
[15]
서적
Adult Comics: An Introduction
Routledge New Accents Library Collection
[16]
서적
Passionate Journey: A Novel in 165 Woodcuts
[17]
보도자료
2020 Lynd Ward Prize for Graphic Novel of the Year
https://pabook.libra[...]
Pennsylvania Center For the Book,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Libraries
2020
[18]
웹사이트
Frans Masereel (1889-1972)
http://graphicwitnes[...]
GraphicWitness.org
[19]
웹사이트
Comics Novel #1
https://www.comics.o[...]
[20]
뉴스
Archer St. John & The Little Company That Could
http://www.comicartv[...]
Comicartville Library
2006
[21]
웹사이트
It Rhymes With Lust
http://www.comics.or[...]
[22]
웹사이트
Mansion of Evil
https://www.comics.o[...]
[23]
웹사이트
Harvey Kurtzman's Jungle Book #338 K
http://www.comics.or[...]
[24]
잡지
Permanent Damage [column] #224
https://www.cbr.com/[...]
2005-12-28
[25]
웹사이트
Panther's Rage: Marvel's First Graphic Novel
http://www.fanboypla[...]
FanboyPlanet.com
[26]
서적
Graphic Novels: Stories To Change Your Life
Aurum Press Limited
[27]
뉴스
Bloomin' Christmas
http://books.guardia[...]
2004-12-18
[28]
웹사이트
Beyond Time and Again
https://www.comics.o[...]
[29]
웹사이트
Beyond Time and Again
https://blogs.exeter[...]
University of Exeter
2015-06-23
[30]
웹사이트
America's First Graphic Novel Publisher [sic]
http://www.nbmpub.co[...]
NBM Publishing
[31]
웹사이트
The First Kingdom
http://www.comics.or[...]
[32]
웹사이트
Interview with Don McGregor
http://www.milehighc[...]
MileHighComics.com
[33]
뉴스
The Three Lives of Jules Feiffer
http://www.nyc-plus.[...]
2005-04-01
[34]
웹사이트
All-Flash covers
http://www.comics.or[...]
[35]
잡지
The Graphic Novel Silver Anniversary
https://web.archive.[...]
2003-11-14
[36]
서적
Graphic Novels
[37]
웹사이트
Cover, The Sinister House of Secret Love #2
http://www.comics.or[...]
[38]
간행물
Comic Books, Tragic Stories: Will Eisner's American Jewish History
[39]
서적
The Graphic Novel: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간행물
Comic Books, Tragic Stories: Will Eisner's American Jewish History
[41]
웹사이트
The Spirit of Will Eisner
https://www.aiga.org[...]
American Institute of Graphic Arts
2005-01-11
[42]
잡지
A Graphic Literature Library – Time.comix responds
http://www.time.com/[...]
2003-11-21
[43]
웹사이트
Marvel Graphic Novel: A Sailor's Story
https://www.comics.o[...]
[44]
학술지
Drawn to Change: Comics and Critical Consciousness
https://journals.lib[...]
2014
[45]
만화
Cerebus
Aardvark Vanaheim
1997-04
[46]
뉴스
From Pulp to Pulitzer
http://www.chron.com[...]
2004-08-29
[47]
서적
Alec: How to be an Artist
Eddie Campbell Comics
[48]
웹사이트
Stripgeschiedenis: 2000-2010 Graphic novels
https://www.lambiek.[...]
[49]
문서
[50]
웹사이트
Interview with Bryan Talbot
https://www.bryan-ta[...]
2009-09-21
[51]
잡지
Another World of Comics & From Europe with Love: An Interview with Catalan's Outspoken Bernd Metz & Approaching Euro-Comics: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Brave New World of European Graphic Albums
Fantagraphics Books
1989-03
[52]
웹사이트
The Alan Moore Interview: Northampton / Graphic novel
http://www.blather.n[...]
Blather.net
2000-10-17
[53]
뉴스
The Term 'Graphic Novel' Has Had A Good Run. We Don't Need It Anymore
https://www.npr.org/[...]
2016-11-17
[54]
서적
Chris Ware
Yale University Press
[55]
서적
The Sandman Companion
Vertigo (DC Comics)
[56]
웹사이트
Behind the Page: Jeff Smith, Part Two
http://forum.newsara[...]
Newsarama.com
2008-02-26
[57]
뉴스
Not graphic and not novel
http://www.spectator[...]
2012-12-01
[58]
웹사이트
Daniel Clowes Interview: The Ghost World Creator Does It Again
https://www.bbc.co.u[...]
BBC – Collective
2005-07-21
[59]
웹사이트
Zilveren Dolfijn - Craig Thompson (oneshots): Blankets
http://www.zilverend[...]
[60]
강연자료
グローバル化時代における、国際的マンガ研究への挑戦
http://imrc.jp/image[...]
京都精華大学国際マンガ研究センター
[61]
잡지
第5回 全米人気ナンバーワンの子供向けグラフィックノベル―デイブ・ピルキー『ドッグマン』
https://manba.co.jp/[...]
マンバ
2019-08-01
[62]
강연자료
コミックスの文化的認知と学術研究の関係について
http://imrc.jp/image[...]
京都精華大学国際マンガ研究センター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韓영화계 새 모델 기대" 충무로 '얼굴' 연상호·박정민의 도전
김지훈, '버터플라이' 킬러 변신…미드 데뷔 성공적
초저예산으로 완성한 ‘연니버스’의 귀환…‘얼굴’로 돌아온 연상호 감독
‘한강 효과’ 셌다…K문학, 지난해 해외 판매량 두배 이상 늘어
[새로 나온 책]"18개월까진 동영상 NO!"...'동영상 스스로 끄는 아이' 외 | JTBC 뉴스
[새책] 나무들의 비밀스러운 생활 外
5월 16일 교양 새 책
청소년의 달, 10대 이야기 담은 문학 책 읽어볼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